영화 '암살'에 대한 짧은 리뷰
주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암살'을 봤다
원래 액션을 즐겨 보는 취향은 아니지만, 시대적 배경이 배경인지라 관심을 갖고 보게 되었다.
영화를 지극히 주관적으로 한 단어로 압축하자면 '대리만족'이 아닐까 한다.
일단 한민족에게 탄압(간도 참변 등)을 가한 일제에게 저항한다는 점은 여러 창작물 들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플롯이다.
다만 기존의 창작물들 중 해방 이후의 상황과 연결지어 비극스럽게 끝맺은 작품이 (내 기준에서) 많았고, 또한 그러한 결말이 인상적이었다는 점에서 이 영화의 결말은 색달랐다.
영화의 결말에서는 염석진(이정재)가 반민특위에서 조사를 받고 재판에서 증인을 모종의 방법으로 살해(또는 사주)하고 무죄 판결을 받으며 당당하게 법정을 나온다. 그리고 법정 밖에서는 부하 경찰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그러나 안옥윤(염석진은 이 시점까지 안옥윤을 미츠코로 알고 있다)을 따라 가다가 임정 시절 자신의 부하에 의해 사살당한다.
아마도 악질 친일 경찰인 노덕술을 모티브로 삼은 것처럼 보인다. 실제 역사에서 노덕술은 반민특위 조사 활동에 의해 잡혀갔다. 그러나 이승만이 구명 요청을 했고, 반민특위가 이를 거절하자 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반민특위를 해체시켜 버린다. 그리고 잘먹고 잘살다 잘죽었다(...) 이 점에서 대리만족 요소를 찾을 수 있겠다.
그 외에도 고증상의 오류가 몇몇 보인다
우선 광복 소식에 대한 백범 김구 선생님의 반응부터가 눈에 확 꽂혔다. 실제 역사에서 백범 선생은 일본의 항복 소식을 듣고 '하늘이 무너지는 듯 했다'라고 표현했다. 외세의 힘으로 광복을 맞이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이런 백범 선생님의 반응에 대한 고증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전화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면이 있는데 당시엔 교환원이 있어 100% 도청 가능하다교환원이 독립군. 태백산맥을 읽은 적 있는 사람이라면 이해가 갈 듯